분류 전체보기
-
파견직 인력의 현지 적응을 위한 훈련글로벌 경영 2022. 10. 23. 09:39
Tung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국, 유럽, 일본의 글로벌기업 중에 약 76% 정도의 기업들은 해외 파견직에서의 실패율이 높다고 보고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글로벌기업들의 약 7% 정도는 해외 파견직의 높은 실패율을 갖고 있다고 한다. Tung은 크게 다섯 가지로 미국기업들의 실패 요인들을 밝히고 있다. 가장 높은 실패 원인은 배우자가 파견되는 현지국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는 것, 두 번째로 파견관리자가 현지에 적응하지 못한다는 것, 세 번째로 가족에 관련된 문제, 네 번째로 파견관리자의 감정적인 미숙, 다섯 번째로 해외 파견직에 필요한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결여라고 밝히고 있다. 반면에 일본기업들이 해외 파견에 실패하는 이유로는 첫 번째 업무수행 능력의 결여, 두 번째 새로운 환경에 ..
-
해외파견근무 관리 및 인사정책글로벌 경영 2022. 10. 22. 21:33
현지국 중심주의적 인사정책 현지중심주의적인 인사정책은 현지에서 채용한 인력이 현지 자회사를 운영하도록 하는 정책입니다. 현지 중심주의적인 인사정책은 많은 경우 앞서 살펴본 본국 중심주의적인 인사정책에서 나오는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현지국 중심주의적인 인사정책의 이점으로는 본국의 문화에 치우치지 않고 현지환경과 문화에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본국 중심주의 적인 인사 관리정책에서 해외파견인력들을 유지하는 데는 상당히 큰 비용이 드는 데 비해 현지 중심주의적인 정책은 훨씬 적은 비용이 듭니다. 그러나 현지국 중심적인 정책에도 몇 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첫째, 현지에서 채용한 직원들은 자신의 나라 외에는 경험을 쌓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자신의 자회사 이외의 다른 국가에서..
-
삼성전자 텍사스 오스틴 공장과 같은 현지법인의 국가관리자글로벌 경영 2022. 10. 21. 09:08
국가관리자의 역할 국가관리자 country manager란 현지 자회사의 대표로서 실질적으로 그 나라에 위치한 현지법인의 운영을 총괄 책임지고 있는 관리자입니다. 국가관리자는 현지 법인의 법률적 대표자로서 현지법인을 총괄 지휘하며 본국의 본사와 긴밀한 연락하에 통일된 전략을 추구하게 합니다. 만일 한 기업이 외국에 하나의 현지법인으로만 있다면, 그 현지 법인장이 국가관리자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그러나 한국의 삼성전자나 현대처럼 미국 텍사스 등의 자회사가 있는 경우에는 이들 개별현지 법인을 총괄하는 별도의 국가관리자가 필요하게 됩니다. 삼성전자만 하더라도, 북미 지역에 많은 TV 관련 판매법인이 존재하며, 멕시코의 티우아나 Tijuana에 전자 복합단지에는 다른 가전사업부들이 여러 개 진출해 있습니다. 또..
-
인적자원관리 블랙홀 등의 다양한 정책글로벌 경영 2022. 10. 20. 09:08
이번 포스팅에서는 글로벌기업 안에서 인적자원관리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할 것인가를 살펴봅니다. ABB는 국적과 상관없이 그 직책에 가장 알맞은 사람을 기용하는 정책을 쓰고 있다. 특히 최고경영자를 비롯한 중역들이 장시간 출장을 통해서 조직내부의 커뮤니케이션을 활발히 하고 동시에 빠른 의사결정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와 같은 글로벌기업 안에서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에 필요한 여러 가지 정책을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블랙홀 black hole은 말 그대로 끊임없이 경영자원을 투입해도 핵심역량을 개발하지 못하는 자회사를 의미합니다. 특히 현지 시장의 중요성이 높은 시 장에서 자회사의 핵심역량이 개발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러한 자회사는 블랙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과거 에릭슨의 미국 자회..
-
자회사 뜻과 본사와의 관계글로벌 경영 2022. 10. 19. 15:54
자회사 뜻과 본사의 자회사에 대한 통제메커니즘 자회사 뜻은 모기업에 의해 지배, 종속 당하는 기업을 말하며 모기업이 100% 지분을 가지고 있는 회사를 말합니다. 많은 경우에 자회사는 인적자원, 투자자금, 기술, 경영자원 등을 본사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본사와 자회사 간의 통합은 본사가 이러한 경영자원을 통해서 자회사에 대한 통제을 가하는 방법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그러나 자회사는 멀리 떨어진 나라에 독립적인 형태로 존재하고 또한 자체적인 경영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본사가 자회사에 대해서 행사할 수 있는 통제력은 많은 경우에 약화하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본사가 자회사에 대해서 통제권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방법에 대하여 검토해 보기로 합니다. Doz와 프라할라드는 본사가 자회사에 취할 수 ..
-
맥도날드 가맹점의 통합과 조정 메커니즘글로벌 경영 2022. 10. 15. 09:08
글로벌화와 현지화와의 갈등 우리는 앞서 글로벌기업의 조직구조의 여러 유형과 변천 과정을 살펴보았습니다. 다국적기업의 조직구조는 근본적으로 제품별 사업부에 있는 제품에 대한 기술적인 지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면서 동시에 각국의 시장에 대한 노하우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조직구조를 통해서 풀어 가려는 시도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품빌 사업부제 조직은 각 제품에 대한 기술과 생산시설을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조직행태입니다. 제품별 사업부에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제품별로 하나의 독립적인 사업 단위가 구성되어 있고, 해당 제품의 생산, 판매, 그리고 연구개발과 같은 모든 활동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처럼 제품별 사업부는 각각 제품이 가진 기술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생산에서의..
-
매트릭스 조직구조의 이해와 abb 사례글로벌 경영 2022. 10. 14. 09:33
매트릭스 조직 앞에서 살펴본 국제사업부를 추가한 사업부제 조직은 점차 글로벌화가 심화하는 경영환경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방안이 되지 못하였습니다. 왜냐하면 제품별로 조직된 사업부는 내수 생산과 판매에만 주된 관심을 두고 있고, 모든 해외시장은 국제사업부가 관장하기 때문에 개별제품별 사업부가 가진 기술을 해외의 생산기지로 이전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해외에 있는 자회사와 국내의 내수사업부 간의 기술 교류와 자원공유, 신제품 관련 기술의 빠른 상품화에서 상당히 많은 문제를 경험하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기업의 조직이 내수 부분과 해외 부분으로 분리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미국과 유럽의 글로벌기업들은 한때는 매트릭스조직 matrix structure로 조직구조를 개편하였습니다. 미국..
-
사업부제 조직구조의 장점글로벌 경영 2022. 10. 13. 08:12
사업부제 조직구조 기능별 조직구조는 기업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종류가 많지 않거나 기업이 판매하는 지역이 넓지 않을 때 보다 효과적인 조직구조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1930년대부터 미국과 유럽의 기업들이 제품별 다각화나 지역별 다각화를 추구함에 따라서 이런 대규모 기업들이 사용하는 조직구조는 점차 기능별 조직구조에서 사업부제 조직구조로 변화하게 되었습니다. 챈들러는 1960년에 Strategy and Structure라는 책을 통하여 미국의 다각화 된 기업들이 점차 기능별 조직구조에서 사업부제 조직구조로 바뀌는 과정을 자세하게 묘사하였습니다. 챈들러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의 듀퐁과 GM과 같은 회사들은 점차 제품별·지역별 다각화를 함에 따라 기능별 조직으로부터 각각의 제품별로 독립적인 사업부에서 운영..